08.사춘기 자녀와의 원만한 관계를 만드는 지혜?

오늘은 유대인부모의 사춘기, 반항기를 맞이한 자녀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소개하겠습니다.

한국은 외국인인 제가 볼 때는 놀라울 정도의 학력중시사회입니다.

그래서 고3 자녀에 대한 부모의 각별한 관심과 배려에는 문화적인 충격을 받곤 합니다.

그러나 고3 수험생보다도 실제 부모의 신경을 쓰이게 하는 자녀는 중2병 환자겠죠?

사춘기 자녀를 키우는 부모에게 있어서 자녀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고민스러운 건 당연합니다.

그것은 세계공통의 부모들의 과제이기도 하고 유대인이라 해도 예외는 아닙니다.

그러나 그들은 아주 지혜롭게 자녀들의 반항심(자랍심)을 대처하고 있습니다.

13세에 맞이할 성인식

유대인은 만13세 생일이 지나면 성인식을 맞이합니다.

히브리어로 발 미츠바라고 불리는 데 그 뜻은 ‘율법의 아들’입니다.

즉 신과 율법으로 인해서 맺어진 관계가 되는 것이 유대인들의 성인식이 갖는 의의입니다.

유대교도 자녀들(남자는 13세, 여자는 12세)은 13세 생일이 지난 다음 안식일에 시나고그라고 불리는 종교시설에서 성인식을 갖습니다.

그들에게 성인식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의식 중의 하나.

이 의식을 마친 자녀들은 성경에 따라서 종교적인 책임을 지니는 성인으로서의 대접을 받게 됩니다.

(부모가 개입하지 않고) 신과의 관계를 1대1로 접할 수 있게 되고 유대교 율법을 지킬 수 있는 훌륭한 유대인이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어디까지나 종교적인 관점의 성인이며, 유대인 공동체 속에서 성인구성원으로서 대접 받는다는 뜻입니다.)

유대인 부모는 이 날을 맞이하기 위해 12년동안 날마다 자녀에게 성경을 가르치며 유대교도로서 지켜야 할 율법을 생활화시킵니다.

그들이 그토록 가정교율에 열심인 이유는 이 성인식을 무사히 맞이하기 위해서,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성인식 이후에는 자녀들은 자발적으로 율법을 지키며 경전공부에 매진하도록 하는 것이 부모의 책임입니다.

‘자유’에는 ‘책임’이 따르다

사춘기를 맞이한 자녀에게는 부모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은 반항심, 자립심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지금까지는 부모의 말에 순종했던 자녀들도 서서히 자립에 대한 욕망이 싹을 트여 부모에게 반발하거나 반항적인 언행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자유나 자립만을 주장하고 싶어하는 사춘기 자녀들에 대해서는 그 ‘자유’에는 ‘책임’이 따름을 부모는 가르쳐야 됩니다.

유대인은 이러한 반항심이 생길 때쯤 ‘성인식’을 맞이하게 됩니다.

‘엄마아빠는 너를 오늘부터(종교적인)성인대우 할 테니까 부모로부터 자립된 책임있는 행동을 하거라’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러한 유대인 문화 속에는 부모와 자녀가 현명하게, 그리고 원만히 사춘기를 맞이하기 위한 깊은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자녀가 받게 될 축의금의 의의

성인식에서 주인공인 자녀는 부모나 친족, 초대객들로 인해서 3가지의 선물을 받게 됩니다.

3가지의 선물

  1. 성경
  2. 손목시계
  3. 축의금

‘3가지의 선물’에 담겨져 있는 각각의메시지

  1. 성경 – 종교적으로 성실한 인간이 되어라
  2. 손목시계 – 시간의 소중함을 마음에 새기며 살아가라
  3. 축의금 – 장래 경제자립을 위한 목돈

선물 중에서도 축의금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금액도 약5만달러(약5000만원)상당이 모아집니다. *5만달러는 중산층가정이며 상류층가정에는 더 고액임.

이 고액의 축의금의 관리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하면서 향후 운영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저축을 얼마나 할 것인가 등 의논을 합니다.


유대인식 가정교육7에서도 소개했듯이 유대인 자녀들은 저축이나 소비에 대한 돈의 교육을 어릴어릴 때 배우며 자랍니다.

성인식에서 받은 축의금은 이것을 잘 운영함과 동시에 ‘살아 있는 경제교육’을 배우는 절호의 기회가 됩니다.

자녀들은 13세때 받은 축의금은 그들이 대학졸업 후, 혹은 부모로부터 독립을 할 때는 그들의 수중에 돌아옵니다.


운영을 잘하면 이 시점에서 이미 몇 배, 몇 십배가 되어 있는 경우도! 그들은 이러한 목돈을 가지고 사회생활을 시작합니다.

한국인 학생의 경우, 대학졸업 후 몇 년동안을 학자금대출을 갚기 위해 사회생활을 해야 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유대인 학생들은 출발지점부터 돈의 운영경험이나 자금이 풍부합니다.

그것을 생각하면 이후 인생에 있어서 유대인들이 경제적인 우위를 갖게 되는 이유를 납득할 수 있습니다.

자녀의 ‘자립심’을 키운다

유대인은 13세라는 어린 나이에 성인식을 맞이합니다.

그것은 종교적인 성인으로서의 자유를 인정받음과 동시에 경제적인 자립을 준비시킨다는 2가지의 의의가 담겨 있습니다.

반편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요?

자녀가 성인이 된 이후에도 과잉보호를 하는 부모님들이 많은 것이 눈에 띕니다.

똑 같이 교육열이 높은 유대인 부모와 한국인 부모지만….그 결과는 어떨까요?

과잉 보호는 부모의 사랑이 아니라 자녀의 의존심만 키우게 됩니다.

부모 역시 자신의 삶을 다 자녀에게 희생시키면서 자신의 노후대책도 제대로 준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부모의 보호 아래서 자립심과 책임감을 키우지 못한 채 성장한 자녀는 성인이 되어서 스스로 의사결정능력이 없는 무책임하고 무능력한 사람이 되어버립니다.

부모는 언제까지나 자녀의 뒷바라지를 해 줄 수 없습니다.

자녀가 정신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자립된 삶을 살아가게 하기 위해서는 때가 오면 손을 놓아, 등을 밀어주는 것. 이것이야말로 성숙된 부모의 사랑이 아닐까요?

유대인의 성인식을 통해서 그런 메시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유대인식교육08.정리

오늘은 성인식을 통해서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는 유대인식 가정교육의 지혜를 소개했습니다.

우리 가정에도 몇 년 뒤에는 사춘기를 맞이할 자녀가 있습니다.

그 때를 준비하기 위해서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정성 껏 사랑을 주며 최선을 다해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녀가 부모로부터 정신적인 자립을 하고 싶은 것은 번데기로부터 나비로’ 바뀌기 위한 당연한 과정입니다.

사춘기, 반항기라는 일시적인 태도 변화에 마음이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이 기간 역시 ‘자녀의 자립되고 풍요로운 삶을 만들어 갈 계기’로 삼아 부모와 자녀가 현명하게 보냈으면 합니다.

다음 기사는 하브루타(질문&토론 공부법)의 실천편을 소개합니다.